[파이썬] 딕셔너리를 이용한 카운팅, 정렬 예제
목적 숫자 리스트에서 발생하는 숫자의 횟수와 합을 저장 숫자, 발생 횟수, 합의 다양한 방식으로 딕셔너리 저장 샘플 코드 # 딕셔너리와 리스트 조합, 소팅 예제 dataSample = [5, 3, 3, 2, 1, 6, 10, 8, 7, 3, 10, 2, 1, 6, 9, 4, 5, 2] dicCount = {} for data in dataSample: if not data in dicCount: dicCount[data] = [0, 0] dicCount[data][0] += 1 dicCount[data][1] += data print('dicCount') for k, v in dicCount.items() : print(k,v) # 정렬 방식 : dicCount 를 key를 이용해 정렬 --> 튜플로 리..
2019. 11. 2.
[파이썬] 함수 호출 CALL BY VALUE/CALL BY REFERENCE
파이썬에서 함수 호출 시 call by value/ref 를 설명하는 간단한 예제입니다 1. bool, 문자열, 숫자, 리스트, 딕셔너리를 함수에서 변경했을 때 def testFunc2(bValue, sString, nValue, list, dic): bValue = True sString = '새로운 문자' nValue = nValue + 100 list.append(100) dic['과학'] = 70 bValue = False sString = '이전 문자' nValue = 10 list = [1,2,3] dic = {'국어': 80, '수학': 95, '영어': 80} testFunc2(bValue, sString, nValue, list, dic) print(bValue) print(sString..
2019. 10. 6.